Skip to content
solheee

210302 - Help Desk, 페어 프로그래밍, 함수

TIL, JS1 min read

Help Desk 사용 방법

이슈를 등록하기 전

  1. 해결방안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보기
  2.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번 서치하기
  3. help-desk issue에 검색해보기

코드는 코드 블럭으로 예쁘게 작성

1consol.log("요로케 작성하기");

코드스테이츠 Help Desk


좋은 질문을 하는 법

  1. 검색 이용하기
    • 에러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글링 해본다
    • 만약 검색을 통해 원하는 답을 얻지 못하더라도 내가 무엇을 찾아봤는지 기록, 기억, 트래킹할 수 있어야 한다
    • 내 질문을 개선하기 위해서 검색은 필수
  2. 질문을 글로 작성하며 키워드 찾기
  3. 에러 메시지를 읽어보기
  4. 질문을 어려워하지 않기
    • 바보 같은 질문은 없다. 그러나 정성을 들이지 않은 질문은 많다
    • 실패를 받아들이기
  5. 좋은 제목! 타이틀이 좋아야 한다
  6. 바쁜 동료에게 물어본다 생각하고 핵심만
    • 코드를 붙여넣기 전에 상황을 먼저

페어 프로그래밍

페어 프로그래밍이란, 두 명의 개발자가 짝이 되어 한 명이 driver가 되어 키보드로 코드를 작성하고, 다른 한 명이 navigator가 되어서 코드의 방향성을 지시하고 리뷰를 작성하는 방식이다.

개발의 규모와 단위가 커질수록, 소통하는 개발자의 중요성이 더 커진다.

페어 프로그래밍의 장점

  • 네비게이터는 숲을, 드라이버는 나무를
    • 역할을 바꿔가면서 전체를 종합적으로 보는 눈 기르기
  • PR하는 개발자, 소통하는 개발자
    • 커뮤니케이션, 자기표현 능력 상승
  • 서로의 부족한 점 채워주기
  • 실무에 적합한 역량 기르기
  • 빠르게 결함을 찾아내고 피드백
  • 같이 고민을 할 든든한 파트너
  • 작업의 집중도 상승

레퍼런스


페어 프로그래밍 방법

네비게이터는 디테일한 문제보다 더 높은 수준의 문제를 고민하고,

드라이버는 큼직한 문제 대신 작은 목표를 빠르게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정확한 목표와 상대방을 신뢰하고 존중하는 대화가 필요하다

소통, 협업, 피드백


페어 프로그래밍을 처음 진행하면서 느낀 점

페어 프로그래밍에 익숙해지기 위해 페어 게임을 진행했다.

약간 아이스브레이킹하는 느낌으루다가


설명하는게 힘들었따~! 내가 증말 언어장애가 있나 싶었다. 팀원들한테 죄송해서 죽을뻔했다

설명을 듣는 입장일 땐 질문하기가 어색했는데, 이해가 안 된다면 질문을 해서 설명을 부탁하는 것이 제일 중요할 것 같다


본격적으로 진행된 페어 프로그래밍은 우리조만 세 명이라 당황스러웠지만, 네비게이터 2명 드라이버 1명으로 돌아가면서 진행했다.

초반에 버벅인것만 빼면 나름 스무쓰하지 않았나...

변수, 타입 기초, 함수를 배우고 페어 프로그래밍으로 문제 풀이를 하는 방식이었는데, 강의에 없던 내용도 문제에 나온다 갱장히 무섭다


til

변수, 타입 기초, 함수를 배웠다.

함수

  • 매개변수와 전달인자 구분
1function name(params) {
2 console.log(params);
3}
4
5name("solhee");

위 코드에서 매개변수(parameter)는 params

전달인자(arguments)는 "solhee"